This course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spaces and urban spaces,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architectural open spaces as intermediaries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city. It explores the forms of urban spaces that have emerged throughout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and, through this understanding, equips students with techniques for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architecture students with foundational theoretical education in urban design and practical training in large-scale urban spatial design methodologies, thereby enhancing their analytical skills and logical design capabilities essential for professional architectural practice.
건축공간과 도시공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파악하고, 건축과 도시의 매개공간으로서의 건축외부공간의 의의와 중요성을 인식한다. 또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나타나는 도시공간의 모습을 파악하며, 그 이래를 통해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법을 습득한다. 본 강의 목표는 건축학 전공 학생들에게 도시설계에 대한 기초 이론 교육 및 대규모 도시공간 설계 방법론에 대한 훈련을 통하여 건축 실무에 필요한 공간 분석 방법 및 논리적 공간 설계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있다.
This course provides architecture students with comprehensive knowledge of the architectural programming process, including essential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nd market demand research methods necessary for real estate development. It introduces the architectural programming process and enhances students’ understanding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tasks through individual project work, fostering problem-solving skills within the plann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course focuses on enabling students to view architectural programming not merely as a part of the design process but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real estate development.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축 기획 과정 전반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 개발에 필요한 핵심 공간분석기법 및 시장수요 조사기법을 교육한다. 또한 건축 기획의 프로세스에 대한 소개와 개인별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건축 기획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건축 기획 과정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본 강의는 학생들에게 건축기획을 단순한 건축설계의 과정이 아닌 '부동산'개발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is course aims to equip architecture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rationally plan both interior and exterior architectural spaces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learning on the built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 Students will explore how spatial design at architectural and urban scales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community and society, examining how these factors affect various human behaviors such as walking patterns and residential location choi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mutual relationships, the course teaches theories and analytical methods related to spatial data,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o enable rational and evidence-based spatial planning.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과 인간행동에 대한 다양한 이론교육과 실습을 통하여 건축학 전공 학생들이 건축의 내·외부 공간에 대한 합리적인 계획을 갖추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수업에서는 건축, 도시 스케일에서의 공간 설계가 지역과 사회 등의 요인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행 행태, 주거 입지 선택 등 사람들의 다양한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상호 연관성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공간계획을 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론과 분석 기법(Geogp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들을 교육한다.